티스토리 뷰
자바빈(JavaBean)은 원래 비주얼 툴에서 조작 가능한 컴포넌트를 말한다.
자바의 주력 개발 플랫폼이 웹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방식으로 바뀌면서 비주얼 컴포넌트로서 자바빈은 인기를 잃어갔다.
하지만, 자바빈의 몇 가지 코딩 관례는 JSP 빈, EJB와 같은 표준 기술과 자바빈 스타일의 오브젝트를 사용하는 오픈소스 기술을 통해 계속 이어져 왔다.
이제 자바빈은 두 가지 관례를 따라 만들어진 오브젝트를 가리킨다.
[1]. 디폴트 생성자
- 자바빈은 파라미터가 없는 디폴트 생성자를 갖고 있어야 한다.
- 툴이나 프레임워크에서 리플렉션을 이용해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2]. 프로퍼티
- 자바빈이 노출하는 이름을 가진 속성을 프로퍼티라고 한다.
- 프로퍼티는 setter와 getter를 이용하여 수정 또는 조회할 수 있다.
'Sping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글톤 레지스트리 (0) | 2022.07.12 |
---|---|
스프링의 IoC (0) | 2022.07.10 |
stereotype annotation들을 어떻게 찾아서 bean으로 등록할까? (0) | 2022.06.21 |
stereotype annotation? (0) | 2022.06.21 |
Spring MVC lifecycle (0) | 2022.05.15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kotest
- kkoon9
- Java
- 디자인패턴
- JPA
- Kotlin
- 객체지향
- 디자인 패턴
- 이펙티브 자바
- programmers
- BOJ
- MSA
- 알고리즘
- C++
- 코테
- Effective Java
- Spring Boot
- BAEKJOON
- 프로그래머스
- node.js
- 클린 아키텍처
- AWS
- 정규표현식
- 클린 코드
- Spring
- 테라폼
- Olympiad
- 이팩티브 자바
- 백준
- Algorith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