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ihT1/btrU140tFxZ/L8WuK7SY0DkKUIN9qwOWa0/img.png)
프로세스의 상태와 컨텍스트 스위치에서 언급된 스케줄러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입니다. 프로세스 심화 - 컨텍스트 스위치(문맥 교환) 프로세스와 스레드 차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나서 프로세스의 컨텍스트 스위치에 대해서 깊게 알아봐야겠다고 느꼈습니다. Process와 Thread의 차이는 무엇일까? Process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kkoon9.tistory.com 프로세스 심화 - 프로세스의 상태 컨텍스트 스위칭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프로세스의 상태를 저장한다는 표현이 많이 나와서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프로세스 심화 - 컨텍스트 스위치(문맥 교환) 프로세스와 kkoon9.tistory.com 스케줄러 스케줄러는 어떤 프로세스에게 자원을 할당할지를 결정하는 OS 커널의 모듈입니다. 스케줄..
컨텍스트 스위칭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프로세스의 상태를 저장한다는 표현이 많이 나와서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프로세스 심화 - 컨텍스트 스위치(문맥 교환) 프로세스와 스레드 차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나서 프로세스의 컨텍스트 스위치에 대해서 깊게 알아봐야겠다고 느꼈습니다. Process와 Thread의 차이는 무엇일까? Process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kkoon9.tistory.com 프로세스의 상태 프로세스의 상태는 다음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실행(running) : 프로세스가 CPU를 보유하고 실행되고 있는 상태 준비(ready) : 실행할 준비는 되어있지만, CPU를 할당받지 못한 상태 봉쇄(blocked, wait, sleep) : CPU를 주어도 당장 실행할 수..
프로세스와 스레드 차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나서 프로세스의 컨텍스트 스위치에 대해서 깊게 알아봐야겠다고 느꼈습니다. Process와 Thread의 차이는 무엇일까? Process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독립적인 개체인 셈입니다.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 kkoon9.tistory.com 컨텍스트 스위치 컨텍스트 스위치는 하나의 프로세스로부터 다른 프로세스로 CPU의 제어권이 이양되는 과정을 뜻합니다. 프로세스 실행 중에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PCB에 저장하고 새로운 프로세스의 상태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 컨텍스트는 뭐야? 프로세스의 컨텍스트는 프로세스가 ..
프로세스와 스레드 차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나서 IPC에 대해서 깊게 알아봐야겠다고 느꼈습니다. Process와 Thread의 차이는 무엇일까? Process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독립적인 개체인 셈입니다.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 kkoon9.tistory.com 먼저 IPC에 대한 내용입니다. IPC란? 프로세스들은 서로 독립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협력할 때 업무의 효율성이 증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OS는 프로세스 간의 협력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대표적인 메커니즘이 바로 IPC입니다. IPC는 Inter-Process Communication의 약자로, 말 그대로 프로세스 간에 발생..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TCP와 IP를 함께 사용한다. IP가 데이터의 배달을 처리 TCP는 패킷을 추적 및 관리하게 된다. TCP는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환경에서 기본으로 사용한다. TCP 특징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발신지와 수신지를 연결하여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논리적 경로를 배정한다. 3-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4-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한다. 3-way handshaking을 쓰는 이유는 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높은 신뢰성을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FUlcW/btrJ7rfZ2i4/biIENS6KX5trlchKdKyh2k/img.png)
스프링 문서를 참고하여 정리하였습니다. Servlet Authentication Architecture :: Spring Security ProviderManager is the most commonly used implementation of AuthenticationManager. ProviderManager delegates to a List of AuthenticationProviders. Each AuthenticationProvider has an opportunity to indicate that authentication should be successful, fail, or docs.spring.io 이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하는 서블릿 보안에 대해 확장하여 Servlet au..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sGeP/btrJDiJlL93/zh6lEU5OLNIZSZIK99D7rk/img.png)
배경 jpa는 insert는 save로, update는 변경감지를 통해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문제는 이 작업들이 단 건으로 진행된다는 점이죠. saveAll이 있으나 내부를 살펴보면 반복문을 통해 save로 저장해주는 식으로 되어 있어서 단 건으로 진행되는 걸 막을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고 어떤 방법으로 해결했는지 다루려고 합니다. 🐻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는 MariaDB를 사용하였습니다. 테스트 코드의 시나리오는 여러 입고 주문들을 비활성화 처리합니다. 테스트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import org.junit.jupiter.api.After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
프로젝트에 DDD를 적용하는 도중 겪었던 고민에 대해서 다룬 포스팅입니다. 개발할 때 도메인 영역에 넣을지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넣을지 애매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먼저, 도메인 서비스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도메인 서비스란? 책 “도메인 주도 설계로 시작하는 마이크로서비스 개발”에 의하면 도메인 서비스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 도메인의 비즈니스 로직 처리가 특정 엔티티나 VO에 속하지 않을 때 단독 객체를 만들어서 처리하는 경우를 뜻한다. 도메인 서비스에서는 상태를 관리하지 않고 행위만 존재한다. 따라서 도메인 로직을 처리할 때 엔티티나 VO와 함께 특정 작업을 처리하고 상태를 본인이 가지고 있지 않고 엔티티나 VO에 전달한다. 책 “도메인 주도 설계 첫걸음”에서도 도메인 서비스를 ..
- Total
- Today
- Yesterday
- kotest
- 클린 코드
- 프로그래머스
- Effective Java
- Spring Boot
- 알고리즘
- BAEKJOON
- Kotlin
- 이팩티브 자바
- 정규표현식
- 클린 아키텍처
- 테라폼
- 디자인패턴
- JPA
- node.js
- BOJ
- 객체지향
- AWS
- Olympiad
- Algorithm
- Spring
- programmers
- Java
- 코테
- MSA
- C++
- 디자인 패턴
- 백준
- kkoon9
- 이펙티브 자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